남에서 출간된 어휘론 저서들은 북에서 별로 언급하지 않은 어휘의 자료, 어휘의 의미, 어원의 탐구, 어휘의 역사, 어휘력과 어휘 교육 등에 대해서 많이 논의하고 있다. 북에서 출간된 어휘론 저서들은 남에서 언급하지 않은 어휘 정리, 이름 짓기 등과 관련되는 문제들에 대해 많은 편폭을 할애하면서 언급하고 있으며, 어휘의 규범화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지면을 할애하면서 언급하고 있다.
어휘론의 연구 영역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바 남과 북의 부동한 학자들에 의해 설정된 연구 영역을 열거해 보면 20개도 넘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어휘론의 연구 영역을 어떻게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보다 과학적으로 설정하는가 하는 것이 어휘론 연구에서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른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머리말 1장. 남과 북의 어휘론 연구 개관 1.1. 남에서의 어휘론 연구 1.2. 북에서의 어휘론 연구
2장. 어휘론의 연구 대상과 영역 2.1. ‘어휘’의 성격 2.2. 어휘론 연구의 대상 2.3. 어휘론의 연구 영역
3장. 어휘의 체계 3.1. 어휘 체계에 대한 일반적 이해 3.1.1. 어휘와 어휘체계 3.1.2. 어휘의 분류 기준 3.2. 어휘의 기원적 부류 3.2.1. 어휘의 기원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2.2. 고유어 3.2.3. 한자어 3.2.4. 외래어 3.2.5. 혼종어
3.3. 어휘의 사회적 부류 3.3.1. 어휘의 사회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3.2. 표준어와 방언 3.3.3. 은어 3.3.4. 전문어
3.4. 어휘의 화용론적 부류 3.4.1. 어휘의 화용론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4.2. 공대어, 겸양어, 평어, 하대어 3.4.3. 속어 3.4.4. 금기어와 완곡어
3.5. 어휘의 시대적 부류 3.5.1. 어휘의 시대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5.2. 신어와 유행어 3.5.3. 고어
3.6. 어휘의 의미적 부류 3.6.1. 어휘의 의미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6.2. 유의어(동의어) 3.6.3. 반의어 3.6.4. 다의어 3.6.5. 동음이의어 3.6.6. 하의 관계, 공의 관계, 부분-전체 관계 3.7. 어휘의 구조적 부류 3.7.1. 어휘의 구조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3.7.2. 숙어 3.7.3. 속담
4장. 어휘의 변화 발전 4.1. 어휘의 변화 발전에 대한 일반적 이해 4.2. 어휘의 체계의 변화 발전 4.3. 어휘의 의미의 변화 발전
참고 문헌
강은국(姜銀國) 1949년 2월 22일, 중국 길림성 안도현 송강에서 태어나서 연변대학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함. 연변교육학원, 연변대학, 복단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하면서 학과장, 학부장, 부학장, 연구소장을 역임했음.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회장, 교육부 대학교 외국어전공교육지도위원회 비통용어종 분과위원회 위원, 교육부 한국어전공 4·8급시험 출제위원장을 역임했음. 대한민국 문화포장, 동숭학술상, 와룡학술상, 國家優秀教育成果二等獎, 上海市育才獎등을 수상했음. 『조선어 문형연구』, 『조선어 접미사의 통시적 연구』, 『한국어 접미사 원류 고』, 『남북한의 문법 연구』 등 14권의 저서와 한국어 교과서 10권, 『신편 한중사전』 외에 논문 100여 편.
|